오늘은 뭘 쓸까 생각해보다가
지난 10월에 딴 DAsP 후기를 찌끄려볼까 한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을 'DAsP를 신청할까 말까' 하는 사람이랑 '신청은 해놨는데 뭐부터 할까' 하는 사람을 위해서 써보려고 한다.
우선 내가 DAsP를 딴건 데이터 산업 진흥원 준자격 시험중에 DAsP만 따면 다 따는 상태였기 때문이다.

SQLD, ADsP, 빅분기를 따고 나니
왠지 DAsP만 채우면 완벽할 것 같아서ㅎ
부가적으로 동료들이 많이 본다고도 하고 회사 지원으로 자격증비용을 받을 수 있어서
였다~

상대적으로 취준생, 직장인들이 많이 따는 SQLD나 ADsP랑은 다르게 데이터 아키텍처 준전문가는 시험횟수도 적고, 시험장소 선택지도 적으며 응시자도 적다.. 시험정보와 기출조차..
57회나 봤는데 왜이리 정보가 없는거니???
그 말은 즉 쓸데가 X...
굳이? 싶은 자격증...
이지만
나처럼 다른 데이터 산업 진흥원 준자격 시험을 다 보신 분이라면 다른 자격에 비해 힘 빼고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까지 읽고 DAsP 따야지 라는 마음이 들었다면 내 공부법을 소개해 볼까 한다
우선 책을 하나 산다.
아깝다? 그런 생각은 하지 않는게 좋다.
sqld, adsp와 비교해서 웹 상에 정보가 진짜 없다. 걍 책 사고 거기서 부터 시작하는게 시간 절약이다.
데이터 아키텍처로 도서 조회하면 책 딱 세권 조회 될건데, 12,000원 하는 실전문제집 구매를 추천한다.
https://link.coupang.com/a/b0BzO8
데이터아키텍처 자격검정 실전문제 - 데이터베이스 일반 | 쿠팡
쿠팡에서 4.7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30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책을 일단 실제로 보면 심적 부담이 많이 줄어 든다. 왜냐하면 엄청 얇다.
심지어 전문가 내용도 포함하고 있어서 그중에서도 공부할 정보는 3/5 정도라 생각하면 된다. (정답 해설 부분까지 포함한다)
과목당 문제는 40문제 정도이다가, 갑자기 4과목(데이터 모델링)에서 급발진으로 120? 문제 정도 나왔던거 같다.
데이터모델링 문제나 배점이 많다 보니 아무래도..
그래서 총 공부할 문제가 240문제 정도 라고 보면 된다.

문제만 본다고 공부가 되느냐?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문제를 보는게 최고의 공부다.
남들 2주 공부한다는 빅분기 필기를 4달간 잡고 있던 나인데, 필기보고 무작정 외우는건 효율이 너무 떨어진다.
이론 2싸이클 돌리는 것보다 문제 풀어보고 뭘 모르는지, 왜 이런걸 물어보는지 아는게 훨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내가 추천하는 저 문제집이 출제 기관에서 낸 책이다 보니 자격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냈을 거란걸 알 수 있다.
우선 나는 출퇴근 길에 문제 보고-답 보고를 2싸이클 돌렸다. 처음에 볼때는 뭐라는거 싶어서 눈에 잘 안들어 온다.
문제 읽고 선택지 읽었으면 고민 많이 하지말고 답 고르고 바로 답을 본다.
답안지가 자세하진 않은데 읽다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게 써놨다. 답을 봐도 이해가 안간다..? 혹은 안외워 진다? 괜찮다 시간 들여서 세번 보면 된다.
그리고 이제 나처럼 싸이클 돌려서 보다 보면 자주 나오는 부분인데 문제 말고 전체를 다 파악해야 할 것 같은 경우가 있다. 이때 이론서에서 해당 내용을 보면 좋은데 이론서는 살 필요 없다 .
아래와 같은 파일을 네이버 카페에서 얻을 수 있다. 링크는 아래에 달아 두겠다.
(dbguide.net 여긴 죽은듯 ㅠ)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가이드(2020.08.29.)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데이터 전문가 포럼 네이버 카페는 이전 자격증 취득 시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됐었다. 무조건 가입하길 추천한다.
다시 돌아와서 이 이론 파일에서 실전문제 관련 부분을 검색해가며 봐두면 문제가 달라져도 해당 내용을 맞출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내가 문제로만 보고 부족해서 찾아봤던 내용인 정보요구 상관분석 부분이다.

문제는 대략 저 표를 보고 선택지를 고르는 식으로 나오나 전체적인 내용 파악이 어려웠다. 그래서 저 우선 순위를 비롯해 표의 어느 부분을 봐야하는지를 보고 갔고 저건 실제로 문제에 나왔다.
대충 감이 오는지 모르겠다. 나는 이 방법으로 9월 8일에 책을 사서 출퇴근 편도 30분 정도를 할애해서 9월 28일에 시험을 봤다. 물론 시험 직전엔 더 많이 보긴 했다.
시간을 많이 쓸 수 있다면 1~2주에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은 든다. 특히 IT프로젝트를 해봤다면 더욱 더... 생각보다 다른 자격과의 연관성은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내 점수 인증하고 마무리 한다.

이 시험을 보려는 여러분도 좋은 성과 있으시길😉
'후기 > 별별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삼청동✨️ (0) | 2024.11.18 |
---|---|
스키장 준비물 준비해 보자❄️☃️ (1) | 2024.11.17 |
[운동어플 추천] 런데이 어플 사용 후기, 런닝 지도에 기록하기🏃♀️ (2) | 2024.11.14 |
[2025수능 D-1] 24.11.14 실시되는 수능 수험표로 할인받는 정보 총정리❤️🔥 (2) | 2024.11.13 |
e-book앱 비교, yes24 eBook(크레마클럽) VS 밀리의서재 (3) | 2024.11.12 |